김시연 변호사/변리사
![](http://www.lylaw.kr/wp-content/uploads/2022/12/리율_김시연_프로필.jpg)
- 자격
• 변리사, 대한민국 (2001)
• 변호사, 대한민국 (2013)
• 가치평가위원, 대한변리사회 (2013)
• 대중소기업기술분쟁조정·중재위원회위원, 중소기업청
(2015) - 학력
• 서울대학교 공업화학과 (1996)
• 일본 게이오대학 국제센터 일본어 과정 및 법학과
지식재산권 연수 (2007. 4. ~ 2008. 3.)
• 인하대 로스쿨 (2013) - 경력
• 김앤장 법률사무소 (2001~2010) 변리사
• 법무법인 건산 (2013~2014) 변호사/변리사
• I2 Lab 법률사무소/특허법률사무소 (2014. 6.~2015. 2.) 대표 변호사/변리사
• 강인 법률사무소, 특허법인 강인 (2015. 3.~ 2019. 6.) 대표 변호사/변리사
• 강인 법률사무소, 우연특허사무소 (2019. 7.~ 2022. 10.) 대표 변호사/변리사
• 강인 법률사무소, 리율국제특허사무소 (2022. 10.~ 현재 ) 대표 변호사/변리사
리율의 김시연 공동대표 변호사&변리사는 서울대학교 공업화학과를 졸업한 후 2001년 제38회 변리사 시험에 합격하여 변리사 자격을 취득하였습니다.
2001년 부터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소니, 캐논, 도시바, 스미토모 등 일본 대기업의 지식재산권을 관리하였고, 화이자. 필립스, 3M등의 특허출원 및 각종 심판 등을 대리하며 지식재산 전문가로서 명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LG화학, 화이자, 유한양행,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삼성제약 등 화약 및 제약회사들의 지식재산권을 비롯하여 쉐메카, 비에스지머티리얼즈 등 배터리 업체의 특허 등을 전반적으로 다룬 경험이 있는 화학 분야 지식재산권에 있어 최고 수준의 전문가입니다.
2013년에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후에도 지식재산권 분야에서 의미있는 판결을 만들어 내고 있는 바, 삼성제약 vs 삼성전자 상표무효심판에서 승소하는 등 탁월한 역량으로 리율의 지식재산권 분야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주요 사건
- 한국전지산업협회 자문단 전반자문, 특허
- 세븐킹에너지(전고체배터리 스타트업) 법률 포트폴리오 구축, 테슬라, 폭스바겐, 스미또모, 페라리와 기술 이전 협상, 덕산테코피아와 M&A
- 포스코 주최 아이디어마켓플레이스 세븐킹에너지 최우수상
- 비에스지머티리얼즈(배터리 실리콘 음극 스타트업) 법률 전반 자문,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
- 쉐메카(유기 배터리 스타트업) 법률 전반 자문,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
- 인털렉추얼 디스커버리 배터리 특허에 대한 자문
- 삼성제약 vs. 삼성전자 상표무효심판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vs. 미쓰비시타나베 권리범위확인심판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vs. 머크 권리범위확인심판
- 유한양행 vs. 아스트라제네카 특허무효심판
- 화이자 vs. 보령제약, 암로디핀 베실레이트 통상실시권허여심판(국내 최초)
- 화이자 vs. 안국약품, 암로디핀 베실레이트 광학이성질체 침해금지소송(에버그리닝 전략 주요 판결)
- 사노피아벤티스 vs. 동아제약, 동화약품, 참제약, 클로피도그렐 광학이성질체 침해금지소송
- 노바티스, 글리벡 강제실시권허여심판 (국내 최초)
- 사노피아벤티스 vs. 동아제약, CJ, 종근당 등, 플라빅스 침해금지소송, 무효심판
- 화이자 vs. 대웅제약, 플루코나졸 권리범위확인심판
- 유한양행 vs. 아스트라제네카, 크레스토 무효심판
- 다국적 제약회사 보건복지부 약가 산정 관련 행정 심판, 소송
- 히타치케미컬 vs. LS 전선, 이방도전성필름 침해소송, 손해배상소송, 가치평가, 라이센싱 협상
- 유한킴벌리 vs. 쌍용제지, 대한펄프, LG 생활건강, 기저귀 플랩 침해금지소송, 손해배상소송 (국내 최대 손해배상 금액 사건 – 약 5 천억원)
- JSR vs. LG 전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사시트 및 이를 이용한 후면패널 제조방법 무효심판
- 3M vs. 스미또모 오사카, 반사방지막 무효심판
- 쇼와덴꼬 vs. 두산, 광학재료용 유기글라스, 권리범위확인심판, 무효심판, 정정심판, 정정무효심판, 침해금지소송, 손해배상소송
- 킴벌리 vs. 효성,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세섬사의 제조방법 무효심판
- JSR vs. LG 전자, 고휘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격벽 조성물 무효심판
- 소니 vs 고등기술연구원, 액정표시소자의 광배향막 형성방법 무효심판
- 헨켈록타이트 vs. 원케미컬, 접착제 가처분, 침해금지소송, 손해배상소송, 무효심판, 정정심판
- 3M vs. 신화오플라 등, 전반사 박막 유연성 필름 침해금지가처분
- 다우코닝토레이실리콘 vs. 태종, 실리콘 조성물 침해금지가처분, 손해배상소송
- ASML vs. 니콘, 마스크 패턴을 반복적으로 영상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침해금지소송
- JSR vs. 토쿄오오카코교, 기판상의 실리카계 피막 및 그 도포액 무효심판
- 고려인삼 vs. 만전식품, 권리범위확인심판 (특허, 디자인)
- LG 화학, 제일모직 vs. 닛또덴꼬 특허무효, 특허침해 감정
- LG 화학 OLED 전략특허 발굴 프로젝트
- 제이슨골프 vs. 애쿠쉬네트컴퍼니, 불사용상표취소심판
- 서울홀딩스 vs. 서울일보 상표사용금지가처분, 상표권이전등록소송, 불사용취소심판
- 아이링 vs. 신한카드 특허침해금지, 디자인침해금지, 특허무효심판, 디자인무효심판, 손해배상
- 다원이앤에이 vs. 디앤더블유 특허침해금지가처분, 업무방해금지가처분, 특허무효심판, 손해배상
- 젤파워 vs. 삼인제어 특허침해금지, 특허무효심판, 손해배상
- 다국적 제약사 (화이자, GSK, 노바티스, 사노피아벤티스, 머크 등), 특허출원, 의견서, 각종 심판 및 소송
- 다국적 의료기기 회사 (메드트로닉, 애보트, 지이, 필립스 등), 특허출원, 의견서, 각종 심판 및 소송
- 다국적 화학회사 (듀퐁, 다우, 3M, 킴벌리, 바스프, 바이엘 등), 특허출원, 의견서, 각종 심판 및 소송
- 일본 주요 회사 (소니, 캐논, 히타치, 파나소닉, 도시바, 스미또모, 신에쯔, 미쯔이 등) 지식재산권 관리